1. 척준경
현재 우리가 배우는 역사서에는 반역자로 기록되어 비중이 크지 않지만,
고려 역사서에서 전하는 그는 초패왕 항우, 온후 여포와 비견되는 한민족 최고의 무장.
비록 권력의 유혹에 놀아나 궁궐을 불태우고 간신을 옹호했으나,
진정한 충심을 깨닫고 간신을 몰아내었으며 토사구팽을 겸허히 받아들인 고려의 맹장.
의리가 있고 충의가 있었으나 너무나 인간적인 장수. 척준경의 파란만장한 역사는 후세에도 길이 남아야 할것이다.
윤관의 기록 -
척준경은 범을 빼어닮은 얼굴에
용력이 출중했고 숙종이 즉위하기 전인 계림공 시절 휘하에 있었다.
인물됨이 호방하고 호탕하여 친구 사귀기를 꺼리지 않았으며
술자리에서는 누구나 그와 가까이 하고 싶어했다.
1.
국경선까지 남진한 여진족들을 정벌하기 위해 고려에서 임간을 파견했다가
임간이 대패하여 군진이 무너졌을 때 당시 중추원별가였던
척준경이 홀로 말을 타고 돌격하여 여진 선봉장을 참살하고 포로로 잡힌 고려군 200명을 빼앗아 왔다.
2.
윤관의 여진 정벌 당시, 여진족이 석성에 웅거하여 별무반의 앞길을 가로막자
윤관이 전전긍긍하였다. 이에 부관이었던 척준경이 이르기를
' 신에게 보졸의 갑옷과 방패하나만 주시면 성문을 열어 보겠나이다 ' 라고 호언하였다.
척준경이 석성 아래로 가서 갑옷을 입고 방패를 들고 성벽으로 올라가 추장과 장군들을
모조리 참살하고 성문을 열어 고려군이 성을 함락하였다
3.
윤관과 오연총이 8천의 군사를 이끌고 협곡을 지나다가 5만에 달하는 여진족의 기습에
고려군이 다 무너져 겨우 1000여 명만 남았고, 오연총도 화살에 맞아 포위된 위급한 상황에
척준경이 즉시 100여기의 병력을 이끌고 달려왔다. 이에 척준경의 동생 척준신이 이르기를
"적진이 견고하여 좀처럼 돌파하지 못할 것 같으데 공연히 쓸데없는 죽음을 당하는 것이
무슨 이익이 있겠습니까?"
척준경이 말하기를
"너는 돌아가서 늙은 아버님을 봉양하라! 나는 이 한 몸을 국가에 바쳤으니
사내의 의리상 가만히 있을 수 없다."
라고 소리치며 우뢰와같은 기합과 함께 100여기의 기병과 여진족의 후미를 돌파하기 시작하였다.
척준경은 단숨에 여진족 부관 10여명을 참살하고 적장을 활로 쏘아 거꾸러 뜨렸다.
척준경과 10명의 용사들이 분투하여 최홍정과 이관진이 구원하고 윤관은 목숨을 건졌다.
4.
여진족 보병과 기병 2만이 영주성 남쪽에 나타나 고려군을 공격할 준비를 했다.
윤관과 임언이 방어만 하려고 하자, 척준경은 단호히 반대하고 나섰다.
"만일 출전하지 않고 있다가 적병은 날로 증가하고 성안의 양식은 다하여 원군도
오지 않을 경우에는 어찌합니까. 공들은 지난 날의 승첩을 보지 않았습니까?
오늘도 또 죽음을 힘을 다하여 싸울터이니 청컨데 공들은 성 위에서 보고 계십시오."
척준경이 결사대 100기를 이끌고 성을 나가 분전하여 적의 선봉장을 참살하고 적들을
패주시켰다.
5.
척준경이 방어하고 있던 성이 포위되고 군량이 다해가자 지휘를 부관에게 맞기고
척준경은 원군을 부르기 위하여 사졸의 옷으로 갈아입고 홀로 적진을 돌파하여
원군을 부르고 당도하여 원군과 함께 성을 포위하던 여진족들을 격파하였다.
6.
1126년 5월, 이자겸이 인종을 시해하려 수백의 사병을 동원하여
궁궐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에 한편으로는 인종이 달아날것을 우려하여
자객 다섯명을 어전(왕의 거처)으로 미리 보내었다.
ㅡ
어전 내부는 유혈이 낭자하여 내시와 궁녀들이 살해당하였다.
자객들이 인종에게 다가가려 하자
왕을 모시는 상선(내시 우두머리)이 두 팔을 벌려 자객들을 가로막고 버티었다.
이에 자객 우두머리 주충이 일시에 상선의 목을 잘라버리니
이제 어전에는 인종과 사관밖에 남지않았다.
자객들이 인종을 시해하려 에워싸려 하자 인종은 대경실색하여 문밖으로 달아나려 하였다.
그 순간 어전문이 통째로 박살나며
한 거구가 손에 피묻은 거대한 태도를 든 채로 숨을 가쁘게 쉬며 들어섰다.
거구는 문 앞에서 놀란 표정으로 서 있는 인종을 향해 우뢰와 같은 목소리로 말했다.
" 폐하! 신 척준경이 왔사옵니다! "
척준경의 갑옷은 이미 한차례 전투를 벌였는지 넝마가 되어있었고,
투구는 고사하고상투가 잘려 봉두난발이 되어있었다. 그러나
마치 그 모습이 조조의 장수 악래 전위가 현신한 듯 하여 자객들과 주충은 감히 먼저 공격하지 못했다.
척준경은 즉시 인종을 등 뒤로 숨기고 자객들에게 달려들어
두명을 베어넘기고 삽시간에 나머지 세명 모두 죽이고 인종을 구하였다.
이 공으로 인종은 척준경을 <추충 정국 협모 동덕 위사공신(推忠靖國協謀同德衛社功臣)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 평장사 판호부사 겸 서경유수사 상주국>에 임명하였다.
출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2. 정기룡
경북 상주를 중심으로 왜구들과 육지에서 60번 싸워 60번 승리한 정기룡 장군
이때 이분의 나이는 불과 31세였고 전쟁이 끝난후 환갑이 넘은 권율장군과 이순신 장군
원균에게만 전쟁 공신이 수여되고 정기룡 장군은 너무 어린 나이와 정치적인 배제로 인해
6년후인 37세때 선조가 슬그머니 이순신 권율장군과 같은 반열인 공신을 수여했으며
순국하신지 150여년이 지난후에 영조가 '충위공'이라는 시호를 내림
조선왕조 실록에 80 여군데나 기록되어 있고 임란 당시 왜구들의 기록에 보면
왜적이 보는 앞에서 왜적의 배를 갈라 생간을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그대로 돌격해
7일동안 25개 왜군부대 9천에 가까운 군사를 고작 7백으로 휩쓸고 다녔다고 함,,
3. 이성계
조선의 태조이기 이전에 고려의 장수였던 이성계는 1361년 홍건적에 의해 개경이 함락되었을때 사병 2000명을 이끌고 개경 탈환전에 참가하여 최초입성 하였습니다. 또한 원에서 파견한 나하추, 덕흥군, 최유의 침입을 모두 격퇴하여 90년간 이어온 원의 고려지배에 종지부를 찍었으며, 함주, 황산에서 왜구를 격퇴했습니다. 특히 황산전투에서는 왜장 아지발도의 투구의 끈을 맞춰 투구를 떨어뜨린 후 활로 쏘아 죽이는 거의 신기에 가까운 활솜씨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성계는 쌍성총관부의 전투 이후 위화도 회군까지 30년동안 단 한번도 패주하지 않은 장수입니다.
4. 연개소문
송나라 신종 황제가 왕안석에게 물었다.
"당태종은 성군이었으면서 왜 고구려를 무너뜨리지 못했는가?"
왕안석은 대답했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비상인(非常人)이었기 때문입니다."
당태종이 출병하기 전에 이정(李靖)을 행군대총관으로 삼으려고 하자 이정은 “제가 일찍이 태원(太原)에 있을 때 연개소문을 만나 병법을 배워 그 뒤로 폐하를 도와 천하를 평정함이 다 그 병법의 힘을 입었음인즉, 오늘날 신이 어찌 감히 전날에 사사하던 개소문을 치리까”하고 사양했다. 스승에 대한 기본 예법을 어길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정은 돌궐, 토욕혼(吐谷渾)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유능한 사령관이었다. 중국 능연각(凌煙閣)에 걸린 초상화의 24공신의 한사람이며, 이적(李勣)과 함께 2대 명장이다.
그가 저술한 <이위공병법(李衛公兵法)>은 당대 최고의 병법서로 알려져 있다. 단재는 이 병법서와 관련해 노상운(盧象雲) 선생이라는 한 노인의 구전(口傳)을 『조선상고사』에 소개하고 있다.
“연개소문은 자(字)가 금해(金海)이니 병법이 고금에 뛰어난 바 그가 저술한 ‘금해병서’(金海兵書)가 있는데 고려 때도 임금께서 늘 각 방면의 병마절도사에게 그 부임 시에 한 벌씩을 하사했다. 지금은 그 병서가 전해지지 않거니와 연개소문이 그 병법으로 당나라 이정을 가르쳐 이정이 당의 최고 명장이 되었다. 그 이정이 저술한 ‘ <이위공병법(李衛公兵法)>’은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로 치는 바, 연개소문에게 병법을 배운 이야기를 자세히 썼다. 그 뿐 아니라 연개소문을 숭앙(崇仰)한 어구가 많으므로 당나라 사람들이 연개소문과 같은 외국인에게 병법을 사사해 명장이 됨은 실로 중국의 큰 수치라고 하여 드디어 그 병법서를 모두 없애 버렸다. 오늘날 유행하는 <이위공병서>는 후인의 위작인 고로, 이는 원본이 아니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당 최고의 명장을 키워낸 인물이 바로 연개소문이었다는 것이다.
너의 강산이 아무리 넓다 해도 400개주에 불과하다. 내가 단지 일개부대로도 너의 땅을 피바다로 만들 수 있다” 명나라 장편희곡“설인귀해정동백포기”에서 연개소문이 당나라 황제에게 호령하는 장면입니다. 사수 대첩은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당을 상대로 한 제2차 고당전에서 나온 전투. 당나라는 백제를 멸망(660년)여세를 몰아 평양성으로 쳐들어갑니다. 662년 1월23일 연개소문은 방심하고 있는 사수에서 당시 당나라 좌효위장군 백주자사 옥저도총관 방효태와 그 아들 13명을 포함 전군 10만을 몰살시킵니다. 당시 소정방이 평양을 포위하고 있었으나 폭설과 사수에서의 대패로 황급히 물러가게 됩니다. 당고종도 아버지 당태종의 말을 듣지 않고 고구려를 침입한 것을 침입한 것을 후회했다고 합니다.
그 이전 645년 당태종의 침입에서도 연개소문의 고구려군은 안시성의 혈전으로 당군을 격퇴시키고 당태종을 뒤쫒아 만리장성을 넘어, 북경지역 깊숙이 쳐 들어갔습니다. 북경시 순의현의 고려영 유적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연개소문이 얼마나 중국인들을 공포에 떨게 했는가는 아직도 남아 있는 중국의 경극과 희곡을 통해 알수 있습니다.
중국의 경극에서 그는 포악함과 카리스마를 동시에 지닌 영웅으로 묘사된다. 경극 속에서 그는 신기에 가까운 무공을 지니고서 중국 당태종을 죽음의 위기로 몰아넣는다.우선 그는 커다란 칼을 포함해, 등에 4개의 칼을 더 차고 있다. 이것은 옛날 연개소문이 온몸에 다섯 자루의 칼을 차고 다녔다는 기록에서 온 것 같은데, 다섯 자루의 칼이 그저 단순히 위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전투용이었다면, '비도(飛刀)' 즉 '날아다니는 칼'이라는 그 이름을 본다면, 틀림없이 고구려에는 다섯 자루의 칼을 '던져 날려서' 적을 공격하는 독특한 검술이 존재했던 것은 아닐까?그의 등에는 4자루의 칼과 함께, 깃발을 메고 있다. 이것은 중국 경극에서 한족이 아닌 다른 민족의 인물을 나타낼 때 쓰는 상징이다. 그가 한족이 아니라 다른 민족 즉 고구려인임을 암시한다.그는 희한하게 청룡이 장식된 옷을 입고 있다. 중국의 전설에는 사람들이 동굴에 갇혀있던 커다란 청룡을 풀어주었더니 그 청룡이 동쪽으로 날아가 연개소문의 몸에 들어갔다고 한다. 단순히 방위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인들은 그를 '청룡'이란 신비한 짐승에 빗대어 말할 정도로 그를 영웅으로 추앙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그의 얼굴과 수염을 보면, 우선 수염이 붉다. 붉은 수염은 피[血], 즉 살기(殺氣)를 나타낸다. 경극에서 붉은 수염은 성격이 잔혹하고 사람 죽이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성격을 암시한다.
그의 얼굴화장이다. 얼굴화장에 쓰인 푸른색은 위엄과 함께 사나움을 나타낸다.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순신 장군님의 지혜..[bgm] (0) | 2013.03.24 |
---|---|
[스크랩] 맹인 안내견의 최후 (0) | 2013.03.20 |
[스크랩] 탄광촌의 90살 꼬부랑 할머니의 위대한 유산(사진 50장 꽉 채운 대스압) (0) | 2013.03.04 |
[스크랩] 성룡 "자신의 본분에 충실하세요" (0) | 2013.03.02 |
[스크랩] 좀 모자라지만 착하고 유명한 형.jpg (0) | 201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