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유
) -->
LPG > 가슬론 > 경유 > 등유 > 중유 > 일반 광유계 기유 > 아스팔트
이같은 성분이 차례대로 추출이 된답니다.
) -->
위의 정제 순서에 따라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일반 광유계 기유에 첨가제를 섞어 만든 것이
바로 광유라고 할 수 있죠.
) -->
광유는 증류기에서 정제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불순물들이
다량 포함이 되어 있어 분자 구조 자체가
일정치 못한 것이 특징이랍니다.
) -->
따라서 광유는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오일이 산화되거나 타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편이기도 하죠.
카본슬러지와 같은 오일 찌꺼기가 자주 생기기 때문에
점도가 깨지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답니다.
그리고 고온에서 오랜시간 운행시 슬러지가 많이 생기게됨.
----------------------------------------------------------------------------------------
) -->
합성유
) -->
합성유는
LPG(PAO) > 가솔린 > 경유 > 등유 > 중유 > 일반 광유계 기유 > 아스팔트
이같은 성분이 차례대로 추출이 되는데요.
합성유의 경우 크게 에스테르(식물성) PAO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답니다.
PAO는 위에 기재되어 있듯
LPG와 가솔린 사이에서 추출이 되고 있어 광유보다
불순물의 합량이 적은 편이고, 안정적인 분자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죠.
또 고속 주행시 고온 엔진 속에서도 점도 변화 폭이
낮은 편이며, 열 안전성도 비교적 유지가 잘 된답니다.
) -->
상대적으로 광유보다 오일찌꺼기가 덜
발생하게 되고 약 1.5배에서 2배 이상으로
교환 주기가 길어지게 되는거죠.
어떤 오일을 선택하느냐는 각 개인 마다 다르겠지만
아무래도 오일 찌꺼기가 덜 발생하는
합성유를 선택하는 분들의 비중의 크기가 더 많겠죠?
그러나 고RPM이나 고속 주행이 잦은 편이 아니라면
광유를 쓰셔도 차량에 큰 무리는 가지 않을 것 같아요.
결론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하시는 분들은 엔진오일에대한 중요성을 잘 모르시는데,
쉽게생각한다면, 광유로 5만km 주행한 차량보다 합성유로 10만km 주행한 차량의
엔진 정숙 출력 떨림이 좋다는겁니다.
공업사에서 엔진오일 교환 하실때 합성유 추천하는걸 돈 더 벌기위해 영업한다 생각하시는분들 많은데 고객님 차 생각해서 추천해드리는겁니다.
합성유 비싸서 고민하시는분들.
인터넷 쇼핑몰에서 합성유 저렴하게 구입하셔서 공임비 주고 교환하시는게
광유 5000km 마다 교환하시는것보다 이득입니다.
합성유는 15000~20000km까지가 교환주기라 보면 되거든요.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아두면 쓸모 있는 교통사고 팁 (0) | 2015.12.02 |
---|---|
[스크랩] 진흙탕에서 차 빠져나오게 하는 간단한 방법 (0) | 2015.11.15 |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평행주차 방법 (0) | 2015.11.05 |
[스크랩] 카센터가 절대 말해주지 않는 자동차관리 상식 5가지 (0) | 2015.09.08 |
[스크랩] 차 경고등 한방에 정리!!! (0) | 2015.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