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스크랩] 차량을 소유하신분이라면 꼭 알고가야될 엔진오일.

대운풍 2015. 11. 9. 08:41

 

 

 

 

 

 

광유

) --> 

LPG > 가슬론 > 경유 > 등유 > 중유 > 일반 광유계 기유 > 아스팔트

이같은 성분이 차례대로 추출이 된답니다.

) --> 

위의 정제 순서에 따라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일반 광유계 기유에 첨가제를 섞어 만든 것이

바로 광유라고 할 수 있죠.

) --> 

광유는 증류기에서 정제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불순물들이

다량 포함이 되어 있어 분자 구조 자체가

일정치 못한 것이 특징이랍니다.

) --> 

따라서 광유는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오일이 산화되거나 타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편이기도 하죠.

카본슬러지와 같은 오일 찌꺼기가 자주 생기기 때문에

점도가 깨지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답니다.

그리고 고온에서 오랜시간 운행시 슬러지가 많이 생기게됨.

 

----------------------------------------------------------------------------------------

 

 

 

 

) --> 

합성유

) --> 

합성유는

LPG(PAO) > 가솔린 > 경유 > 등유 > 중유 > 일반 광유계 기유 > 아스팔트

이같은 성분이 차례대로 추출이 되는데요.

합성유의 경우 크게 에스테르(식물성) PAO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답니다.

PAO는 위에 기재되어 있듯

LPG와 가솔린 사이에서 추출이 되고 있어 광유보다

불순물의 합량이 적은 편이고, 안정적인 분자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죠.

또 고속 주행시 고온 엔진 속에서도 점도 변화 폭이

낮은 편이며, 열 안전성도 비교적 유지가 잘 된답니다.

) --> 

상대적으로 광유보다 오일찌꺼기가 덜

발생하게 되고 약 1.5배에서 2배 이상으로

교환 주기가 길어지게 되는거죠.

어떤 오일을 선택하느냐는 각 개인 마다 다르겠지만

아무래도 오일 찌꺼기가 덜 발생하는

합성유를 선택하는 분들의 비중의 크기가 더 많겠죠?

그러나 고RPM이나 고속 주행이 잦은 편이 아니라면

광유를 쓰셔도 차량에 큰 무리는 가지 않을 것 같아요.

 

 

 

 

결론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하시는 분들은 엔진오일에대한 중요성을 잘 모르시는데,

쉽게생각한다면, 광유로 5만km 주행한 차량보다 합성유로 10만km 주행한 차량의

엔진 정숙 출력 떨림이 좋다는겁니다.

공업사에서 엔진오일 교환 하실때 합성유 추천하는걸 돈 더 벌기위해 영업한다 생각하시는분들 많은데 고객님 차 생각해서 추천해드리는겁니다.

합성유 비싸서 고민하시는분들.

인터넷 쇼핑몰에서 합성유 저렴하게 구입하셔서 공임비 주고 교환하시는게

광유 5000km 마다 교환하시는것보다 이득입니다.

합성유는 15000~20000km까지가 교환주기라 보면 되거든요.

 

 

 

출처 : 이종격투기
글쓴이 : 박아사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