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권법의 流派
1, 장권(長拳)
송나라는宋太祖32勢長拳,溫家72行拳등이 무술은 장권으로 불리우고, 그 특징은 매우 강력하고, 거칠다. 이것은 근접전형식이며(逼近用短打,若遠開則用長拳), 오직 살상에 그 목적을 둔다.사권(査拳),화권(花拳) 화권(華拳),홍권(紅拳),삼황보추(三皇炮捶) 소림권(少林拳)등의 권법을 통틀어서 장권(長拳)이라고 한다. 장권의 특징은 동작이 크고 넓으며 또한 신축성이 강하다. 맨손 체조의 마루운동과 같이 전신을 종횡으로 움직이며 그 맵시가 우아하고 아름답기도 하다.
(장권圖)
2,남권(南拳)
남권은 광동성, 복건성 등 중국 남방 각지에 널리 수행되는 권법을 일컫는다. 그 중에서도 광동남권은 홍가권(洪家拳), 이가권(李家拳), 유가권(劉家拳),蔡家拳,莫家拳등이 유명하며 복건(福建) 남권은 영춘권(永春拳), 오조권(五祖拳)매화권(梅花拳)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권법은 일반적으로 권세가 강렬(硬橋硬馬.剛勁雄健)하고 보법이 굳세며 동작이 긴밀한 것이 특징. 항상 근육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며, 신체의 중심을 중앙에다 모아서 팔방으로 가볍게 나가고 물러나며 큰 소리로 기합을 넣는다.
(남권圖)
3,소림권(少林拳)
소림권는 소림무술총칭이다. 소림권 包括, 小紅拳,대홍권,노홍권,매화권,칠성권,炮拳,羅漢拳등이 대표적. 이들 모든 권법은 일직선상에서 起.落.進.退을 하는 것이 남다르며(拳打一條線), 강건한 기상(剛健有力)이 돋보인다. 중국 하남성 숭산 "소림사"는 기원 495년 [孝文帝]가 건립한 사원이다. 소림사 무술은 18행동강령과 함께 [역근경]과 [세수경]으로 창안되어 전해오고 있다. 사원(寺院)이 비적들의 습격을 받을때마다 격퇴하여 소림사 무명은 강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송(宋)나라 태조[趙匡胤]은 후주의 무장이였으며 소림권을 개조한 조광윤의 권법은 "진가태극권"과 유사하며 현재 중국의 산동성, 산서성, 하북성의 "태조장권" "三十二勢長拳"등의 이름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송나라 말기 무술의 명인 [장삼풍]은 청산지방의 치안판사로 재직한 사람으로 소림권의 맹열한 공격술을 부드러운 "내가권법"으로 변형시켰다. 소림권을 [외가(外家)권법]이라 한다면 [장삼풍]이 터득한 권법을 [내가(內家)권법] 이라고 한다. 소림권은 호흡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뼈와 근육을 단련하고 부드럽고 강한 것을 조화 시켜 공격은 날카롭고 강하게 하며 방어는 부드럽게 행한다. 무술가 [覺遠上人]은 소림권의 "18나한수"를 연구하여 "72수"로 늘려 수련하였으며 그후 "소림오권"의 창시자 [백옥봉]과 [이청]은 "72수"를 연구하여 "170수"로 만들어 발전 시켰다.
(소림권圖)
소림오권(五拳)이 특징
용권(龍拳) - 전신을 자연스럽게 하며 정신을 통일시키고 동작을 취할때는 활달하게 움직 이는 <신경을 기르기>위한 권법이다. (龍拳:신(神)을 단련한다).
호권(虎拳) - 동작취할때 팔과 허리로 힘을 쓴다. 호랑이가 먹이를 취할 때 동작이며 <골 격을 튼튼히>하기 위한 권법이다. (虎拳:골(骨)을 단련한다).
표권(豹拳) - 굳센힘과 전신의 힘으로 <민첩한 동작을 기르는>권법이다. (표권(豹拳:힘(力) 을 단련한다)
사권(蛇拳) - 몸을 부드럽게하여 기(氣)를 넣어 공격하고 부드럽게 방어하는 <기(氣)을 기 르기>위한 권법이다. (사권(蛇拳:기(氣)를 단련한다)
학권(鶴拳)- 정신을 통일하고 침착하고 민활하게 공격을 하는<정(精)을 기르기>위한 권법 이다. (학권(鶴拳:정(精)을 단련한다).
4,형의권(形意拳)
형의권은行意拳이라고한다.형의권은 心意六合拳에서發展한一門이다 벽(劈).붕(崩).찬(鑽).포(炮).횡(橫) 등 다섯가지 권법을 기본으로 하며, 용.호랑이.원숭이.말.닭.제비.뱀.독수리.곰.거복이.세매, 등등 동물의 형상과 자세 12가지를 본 뜬다. 강한 것과 부드러운 것, 단단한 것과 부서지기 쉬운 대상을 가려 조심스럽게 손으로 움켜지면서 발을 옮겨 침착하게 가격한다.
(형의권圖)
5,팔괘장(八卦掌)
原名이轉掌이고 後稱팔괘장.발을 앞으로 벌리거나 팔자로 오므리는 자세를 취하며 상대를 표적으로하여 원형으로 돌면서 계속 움직이는 것이 특징(隨走隨變,以變應變). 그 이름이 나타내듯이 장(掌)을 사용한 기법을 주체로 하는 권법이다. 공격시는 장으로 상대의 점혈(급소)를치고, 방어시는 상대의 공격을 장으로 받아서 흘린다. 장과 발차기를 연결 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장을 쓰는 손기술을 주체로 한다. 또 공방은 모두 원을 그리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대와의 간격을 맞출 때는 주권(走圈)이라는 기법에 의해 원주(圓周) 위를 걸으며 상대의 측면이나 뒤쪽으로 접근한다. 언제나 인간의 최대 사각인 뒤쪽으로 접근해 공격을 해서 상대에게 방어뿐만이 아니라 반격 조차 하지 못하도록 한다. 공격기는 장을 내지르는 것이 아니라 팔을 휘둘러 치며, 방어는 상대의 팔을 비틀거나 돌리듯이 받아서 흘린다. 싸움이 시작 되면 상대를 쓰러뜨릴때까지 끊임없이 계속 움직인다. 연속되는 원운동에 의해 높여진 원심력을 발경의 원경으로 삼아 공격을 강력하게 만든다. 끊임없는 원운동으로 높여진 發勁을 장에 의해 상대에게 적중 시킨다는 것이 八卦掌인 것이다.
(팔괘장圖)
6,태극권(太極拳)
몸을 부드럽고 신축성 있게 움직이며 동작이 완만한 것이 특징. 상대방의 강하고 집중적인 공격을 피하면서 자신의 중심을 잡아 반격하는 기법이다. 여성이나 노인들도 무리없이 익힐 수 있어서 일상 생활의 건강법으로 큰 인기가 많은 무술이다. 태극권도 여러 유파가 있는데 진식(陳式), 양식(楊式), 오식(吳式),무식(武式) 손식(孫式),조보(趙堡),무당(武當)등이 유명하다.
(태극권圖)
7,당랑권(螳螂拳)
당랑권는남북양파이다. 실전성이 높은 宋.元.明 3라나(朝)18문파①의 기술을 모아 만들어진 것으로, 북파권법의 集大成이라고 부른다. 사마귀가 앞발로 곤충을 잡듯 손과 발을 교묘히 쓰는 기술엄지, 검지, 중지,3개의 손가락을 내민 당랑수는, 점혈을 찌르기에 가장 적합하다. 점혈 중에서도 당랑수로 눈을 찌르는 것을 제일로 친다.당랑수는, 점혈을 점혈을 찌르는 것 외에도 상대의 공격을 받아 흘리는데도 사용한다 . 猿猴步法을 써서 접근해, 끊임없이 상대의 측면이 등뒤로 돌아들어가듯 움직이면서당랑수에 의한 수기(手技)를 연속적으로 구사한다. 연속적이라고 하더라도 아무렇게나 하는게 아니라 상하로 나누고, 그것도 언제나 급소를 노리는 것을 기본전법으로한다.
이 기본전법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당랑권은 전법상의 특색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그 경우, 당랑수에 의한 공격을 중점적으로 구사하여 상대를 쓰러뜨리는 것을 주체로 하는 파를 경당랑권(硬螳螂拳)이라 하고, 상대의 자세를 발걸이나 관절기로무너뜨리거나, 기술에 [허]를 섞음으로서 상대를 교란시키면서 공격을 구사하는 것을 주체로 하는 파를 연당랑권(軟螳螂拳)이라고 한다.
당랑권流派는 칠성(七星), 매화(梅花), 비문(秘門),태극(太極),육합(六合),솔수(摔手)와광판(光板,팔보(八步)등門派,(周家螳螂拳) 주가당랑권이이다。
(당랑圖)
① 十八家:
太祖的長拳起首,韓通的通背為母,鄭恩的纏封尤妙,
溫元的短拳更奇,馬藉的短打奇特,孫恒的猴拳且盛,
黃粘的靠身難近,綿世的面掌飛疾,金相的磕手通拳,
懷德的摔埒硬崩,劉興的勾摟採手,譚方的滾漏貫耳,
燕青的占拿跌法,林沖的鴛鴦腳強,孟甦的七勢連拳,
崔連的窩肚剖捶,楊滾的棍採直入,王朗的螳螂總敵,
集十八家拳法精要,合十八家手法於一 體,螳螂之妙即在於此。
8,팔극권(八極拳)
팔극권는短打拳術이다.상대와 짧은 거리에서 속공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팔극권의 성질은 비교적 소박하고 간결한 편이면서도 매우 강맹한 성질이 있다.十字勁주로한다. 태극권이나 팔괘장과 같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진 권법과 대조를 이룬다. 때문에 타격력이 중국무술중에 최고라는 평이 있을 정도다. 특히 주먹이나 발외에 팔굽, 등, 어깨.고관절(肘.背.肩.胯)를 무기로 삼아 공격하는 특징도 있다. 系派는中央國術舘,霍,馬,武壇,등등 여러 팔극권 계파가 있다.
(팔극권張龍)
9,통배권(通背拳)
[통비권(通臂拳)혹은 통배권(通背拳)]이라고한다. 摔(솔).拍(박).穿(천).劈(벽).鑽(찬) 등 다섯종의 기본 수법(手法)을 위주로 구성되며, 팔을 길게 뻗쳐 기습적으로 총알같이 빠르면서도 부드러운 가격을 하는 것이 독특하다. 통배권의 [통배(通背)]라는 문자는 발경을 등에서 공격에 사용하는 부위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통배권은 북파권법중에서도 경법(勁法)에 특징이 있기로 이름 높은 권법이다. 기술에 발경(發勁)을 실을 때의 방법은 9가지가 있어 공방 상황에 따라 사용이 구분된다. 또한, 동작은 모두 원숭이의 움직임을 참고로 만들어져 경쾌하고 재빠른 몸놀림을 기본으로 한다. 공격시에는 원숭이가 먹이를 채듯 팔(어깨)을 길게 편다. 팔극권등에서도 중시되는 [방장격원(放長擊遠)]의 요령으로 손기술을 구사한다. 그 때문에, 원거리에서 중거리의 공방(攻防)을 특기로 한다. 신속한 움직임으로 치고 빠지기의 공방을 펼친다. [신속한 몸놀림으로 상대의 사정거리 밖에서 기술을 구사해 공방을 펼친다]는 것이 통배권인 것이다. 통배권의 분파로 발전해 독립한 문파는祁家通背.白猿通背,劈掛通背.通背猿猴,五行通背,六合通背,劈挂通背,两翼通臂,二十四式通臂,洪洞通背,등이다.
(통배권)
10,번자권(飜子拳)
짧고 가벼우면서도 치밀하게 짜여서 빠르게 힘을 쓰는 권법. 번자권은, 주먹 연타를 공격의 주체로 하는 북파권법이다. 이름에 단긴 [번]은 [翻生不息(숨도 쉬지 않고 연속으로 한다)]라는 단어의미를 간략화한 것으로서 번자권의 싸움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접근한 상태에서 상대가 쓰러질 때까지 단숨에 좌우의 주먹 연타를 퍼부어 승부를 내는 것이 번자권의 전법이다. 기법은,일격필살보다도 연속 공격으로 상대를 쓰러뜨리는 전법을 기본으로구성되어 있다. 주먹을 쏠 때, 상반신은 팔꿈치 앞부분을내지르는 정도, 하반신도 허리를 가볍게 돌리는 정도에 그친다. 극히 작고재빠른 동작으로 일격을 펼침으로서 스무드하고 신속한 주먹의 연타를 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빠르고, 틈이 없는 연타는 一掛鞭(일괘편),중국에서 축제때 쓰는 긴 폭죽 꽃불(鞭炮)과같다고 불릴 정도이다. 동작이 작기 때문에 일격의 위력은 약하지만, 그 문제점은 신속한 연타를점혈에 찔러 넣음으로서 해소한다. [신속하고 틈이 없는 연타로 상대를 제압한다](心威,手威,破竹之勢)는 것이 번자권이다.
(번자권)
11,착각(戳脚)
발을 주로사용하는 발을 위주로 구성된 권술로 손도 함께 사용.북방권법으로 발을 많이 사용하는 권법이다. 특히 발차기가 상당히 특이한 권법으로 번자권과 함께 사용하여 발차기의 효능을 더 높인다. 신종 착각번자권,지공착각,소림착각,탄퇴착각,형의착각,팔괘착각이라고 한다.
(착각)
12,지당권(地躺拳)
이 권법은 구르며 뒤집는 등 바닥에 모로 누어서 상대를 넘어 뜨리는 목표로 구성된권술이다. 수준 높은 기교가 요구되기 때문에 훈련과정이 어렵다. 지당권은 주로 누워서 전투기법을 펼치는 권술의 일종으로 지공권 (地功拳)이라고도 하고 옛 이름은 구곤십팔질(九滾十八跌)이라 칭했다.
명나라 왕기찬(王圻撰)의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중에 기재되어 있다. 이 권법은 질(跌), 박(撲), 곤(滾), 번(翻)의 동작이 주체를 이루고 수법, 퇴법, 보법과 신법이 배합되어 조성되었으며, 각종 와지진공(臥地進攻) 도지반격(倒地反擊) 방법로. 이러한 기법들은 서있다가 갑자기 쓰러지면 넘어진 상태에서 갑자기 도약 하는등 수련하기 힘든 기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의 지당권은 취권(醉拳)의 솔타(솔打)와 후권(후拳)의 약도번등 (躍跳번騰)의 동작을 빌려 지당권의 고난이도의 번(번), 등(騰) 기술과 박지곤전(璞地滾轉) 동작이 합쳐져 더욱 활발해졌다. 고난도예술성있는권술이다.
(지당권)
13,상형권(象形拳)
각종 동물이나 사람의 특정한 동작을 형상화한 공방기법와예술성수법을兼備한권술로 다음 과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응조권 = 독수리가 발톱을 이용하여 먹이를 채는 동작을 본뜬 기술.
▷당랑권 = 사마귀가 앞발로 곤충을 잡듯 손과 발을 교묘히 쓰는 기술.
▷후 권 = 원숭이 권법=원숭이의 절묘한 앞발 사용법을 응용.
▷사 권 = 뱀의 몸놀림과 이빨 쓰는 법을 원용한 권법.
▷취 권 = 술에 만취된 사람처럼 비틀거리면서도 교묘하게 균형을 취하면서 허허실 실의 동작으로 상대를 교란하며 가격하는 특이한 권법.
(상형권)
14,후 권(猴拳)
후권은 원숭이권으로 불리기도 한다. 후권은 한왕조시절의(獼猴舞)로 근원을 잡고 있으며, 고서에 황제의 정원에서 원숭이 춤공연이 있었다고 기록되있다. 명나라때, 송 太祖가 묘사하길, 원권에는 32장권과 6보권법이 있었고 그시절엔 폭넓게 행해졌다고 한다. 후권은 북쪽과 남쪽스타일 있으며, 북쪽은 길고 컴팩트한 움직임과 강력하고, 근거리에서 피해를 주는 공격기술이 주를 이루고, 남쪽스타일은 작고 계속적인 움직임과 근접전에 효과적인 기술로 이뤄져 있다. 두 스타일다 잦은 도약과 원숭이의 움직임과 표현을 흉내낸다. 현대 스타일은 더욱 생생하고 더 많은 점핑과 공중기술, 텀블링을 포함한다,내용이풍부함.
(후권)
15,응조권(鷹爪拳)
독수리가 발톱을 이용하여 먹이를 채는 동작을 본뜬상형권이다.
응조권, 정식명칭 [鷹爪翻子拳]은, 이름 그대로, 독수리가 먹이를 잡는 모양을 참고한 움직임으로 기법이 형성된 북파권법이다. 정식으로는, 독수리가 먹이를 잡을 때의 동작이 아닌, 잡을 때의 발톱을 본뜬 [응조수(鷹爪手)]라는 손 모양을 나타낸다.공방의 때에는, 이 응조수로 상대를 치고, 상대의 기(技)를 받아 낸다. 공격과 방어 어느 쪽을 하던지, 먼저 응조수를 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 후는,단숨에 연타를 구사함으로서 승부를 낸다.또한,응조수에 의한 공격은, 항상 상대의 눈이나 사타구니,점혈 같은 급소를 노린다. 방어 시에도 상대의 공격을 받아 냄과 동시에 응조수로 상대의 점혈을 찔러 넣는다. 이 점혈에 찔러 넣는(點穴閉氣) 기법은 [사경(死勁)]이라 불 리는, 응조권 독특의 경법이라고 알려져 있다.[독수리의 발톱과 같은 손에 의한 연타로 상대가 쓰러질 때까지 끊임없이급소를 찔러 넣는다]는 것이 응조권이다.1919년상해정무체육회기본수련종목이다.
(응조권)
16,탄퇴(彈腿)
탄퇴는 선권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지만, 그 인기도에 의해 독립된 무술로 인정받는다. 탄퇴는 10식으로 이었지만, 소림승들에 의해 2식이 더해져 12식이 되었다. 탄퇴는 손으로 몸을 지탱하고 발동작에 집중한다. 그 중심은 교대로 발을 크게 디디면서 낮은 자세를 유지하는데에서 나온다. 탄퇴유파는임청(臨清),소림(少林潭腿)、정무(精武潭腿)、교문(教門彈腿),통배(通備潭腿)등이다.
(탄퇴문)
17,사 권(蛇拳)
사권또는사형권이라고한다 뱀의 몸놀림과 이빨 쓰는 법을 원용한 권법이다.뱀의형(形),신 (神),의(意),경(勁)등모방한권술이다.
(사권)
18,화권(華拳)
화권은 산동지방 濟寧이라는 곳에서 유래한다. 당나라시절, 카이 마오라는 무사출신의 사람이 한 귀족을 죽이고 지닌으로 도피를 하였다. 카이 마오는 무술과 검법에 무척 뛰어났다. 그후, 400년이 지나고 그의 후손 카이 타이와 카이 강 역시 무술에 소질을 보여 종종 지역대회와 국가대회에서 우승을 하였다.
그들은 그들의 스타일을 발전시켜 오늘날의 화권의 토대를 만들었고, 명나라 때, 카이 완지는 "화권의 비밀"이라는 책을 지어 화권을 완성시킨다. 그는 그책에 과거의 사상과 호흡법, 도를 조합하여 하나의 철학을 담았다. 蔡桂勤이 사람은 청나라 때인 1877년에 태어나 어릴적부터 무술을 좋아하였는데, 카이싱(지명)의 몇몇 안되는 화권 무술가였던 조부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조부의 사후, 가난으로 그는 濟寧의 변두리 마을로 가게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산동지방에서 화권의 대가로 유명했던 丁옥산을 만나게 되고 3년동안 사사를 받아 청나라 말기까지 또 하나의 화권의 대가가 된다. 1897년부터 카이 구킨은 중국 남부를 여행하던중 1906년에 상하이에서 쿠진이라는 여인을 만나 무술적인 교류를 갖는다. 1920년 카이 구킨은 선 얏센(아마 스승이 아닐까 싶습니다)을 만난 후, 광주산하 정부기관 공무원을 무술지도를 하게 된다. 그후 아들이 죽고, 상하이에 정착하여 남은 여생을 보낼 때까지 여행을 계속하였다. 그래서, 화권은 후베이, 지안시, 후난과 헤난지역에 알려지게 되었다.
(화권)
19,취 권(醉拳)
취권 혹은취팔선권 술에 만취된 사람처럼 비틀거리면서도 교묘하게 균형을 취하면서 허허실 실의 동작으로 상대를 교란하며 가격하는 특이한 권법 이다.취팔선은 '8명의 취한 신선'의 동작을 본따 만들어진 권법이다.
(취권)
취팔선(醉八仙)
제1식 여동빈(呂洞賓)은 조롱박을 들고 취한눈으로 전후좌우로 비틀거리며 공격한다. 마치 정신이 없는듯 하지만 그속에 강인한 축력(蓄力)과 비술이 숨어있다.조롱박을 사용한 모습은 취(醉)그자체이며 그것을 활용하여 쌍절곤과 같은 위력을 발휘한다. 취보(醉步), 짐주세(斟酒勢), 앙질(仰跌)등의 초식이 있다.
제2식 철괴리(鐵拐李)는 한발로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다.권경에 의하면 철괴리 신선은 원레 외발의 장애인이였다.그는 한쪽발이 없는 대신에 철지팡이를 이용하여 한발로 뛰고 차는 기술을 창안해 냈다.발기술을 단련해서 손기술에 못지않는 현란함을 구사한다.
제3식 종리권(鐘離權)는 팔의 완력을 이용하여 적을 격패시키는 권법이다. 수련시 마치 항아리를 끌어 안듯 양팔을 둥굴게 벌리고 허리의 축경을 등에서 견정혈로 이동하여 양팔로 운공한다. 또 자기보다 큰 항아리를 끌어안으므로서 자연히 함흉발배(含胸拔背)의 기공자세를 견지하여 자신의 내력을 축적하고 적의 공격을 무력화 시킨다.
제4식 람채화(藍采和)는 여자 선인이며 허리를 기묘하게 비틀면서 신법을 움직여 적의 공격을 피하는 '허리흔들기'를 상형화 한 초식이다.그녀는 한발에는 신발을 신고 있지만 한발은 맨발이라 한다.또 항상 여성답게 바구니를 가지고 다닌다. 맨발과 꽃바구니ㅡ 이 묘한 상황이 상대로 하여금 방심을 유도하여 패한가운데서 승기를 쟁취한다.허리를 살랑살랑 흔드는 세요화풍(細腰花風)동작은 람채화의 대표적 초식이다.
제5식 장과로(張果老)는 철괴리와 마찬가지로 발기술이 능항 신선이다. 다만 철괴리가 한쪽발로 행하는 초식에 능하다면 장과로는 두발 모두를 사용하는 권법이다. 뛰어차는 선풍각,반퇴질(盤腿跌), 복지붕(伏地崩)같은 곡예에 가까운 발기술로 구성 되어있다.
제6식 조국구(曹國舅)는 취권의 대표적인 수법인 월아차수를 사용하여 적의 쇄후(碎喉)공격을 주로 하는 발기술에 팔힘을 아룰러 갗운 선인이다. 앞으로 구루는 전도법(前倒法), 머리를 땅에대고 회전하는 안두(案頭)등 구루는 도신법(倒身法)이 많은 권법이다.
제7식 한상자(韓湘子)는 특이하게 피리부는 모양을 취한 상형권이다. 앞손과 뒤손을 피리불둣 향하고 원후법을 써서 활발히 움직이며 적을 공격한다. 피리구멍에 댄 손가락을 옮길시 움직이는 동작이 상대의 혈도를 짚는 점혈법에 속한다.
제8식 하선고(何仙姑)는 람채화와 같이 여자 선인이다. 허리를 흔들어 보이거나 거울을 보며 화장하는 모습, 팔꿈치 후려치기를 사용하는등 동작이 조밀하고 아름다워 여성 특유의 초식으로 적과 대적한다.하선고의 미인조경(美人照鏡)초식은 비록 형태는 다르나 많은 권법에서 사용하고있는 유명한 초식이름이다.
20,아미권 (峨眉拳)
중국사천성 아미산은 중국불교명상지의 한곳으로서, 또한 무술근원지로서 잘 알려져 있다.숭산이나 무당산처럼, 많은 종류의 무술이 이곳 종교적으로 추앙받는 아미산에도 전해내려 오고 있다. 이산이 그 야생적 풍경으로 유명한만큼, 무술역시 동물의 움직임을 본딴 무술로도 유명한데, 특별히 원숭이스타일이나 독특한 남부타일들이 있다. 아미권은 도약이 거의 없는 낮은 자세로 특징화할 수 있는데,점프시에는 가볍고 빠르게 행한다. 그 움직임들은 다른 여느 것들과 무척 다르며, 많은 살상적인 기술들은 허리움직임에서 나온다.
(이미권)
21,벽괘권(劈掛拳)
벽괘권은 수 많은 중국권법 문파 가운데서도 가장 격렬하게 움직이는 권법으로 이름 높다. 신속하게 상대의 주위를 돌면서 양 팔을 풍차처럼 휘둘러 중거리나 원거리에서 공방 을 펼친다. 명칭도 그 팔을 휘두르는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니, 크게 휘둘러 내리치는 [벽(劈)]과 휘둘러 올려치는 [괘(掛)]라는 동작에서 기인했다. 또,권(拳)을 거의 쓰 지 않고 손을 편 채로 팔을 휘두르기 때문에 벽괘장(劈掛掌)이라 불리는 경우도 많다 .
(벽괘권)
22,비종권 (秘宗拳)
비종권은 일명 미종권迷從拳, 혹은 연청권燕靑拳이라고도 한다. 미종이나 비종은 다같이 중국어로 발음이 미종이며 이 권법은 구전口傳으로만 전하여 왔다. 연청문의 고수 곽 원갑은 일본인 고수를 격퇴하여 유명해 졌으나 후에 일본 인 의사에 의해 독살 당했다. 이 권법의 형은 연청권(燕靑拳), 오호권(五虎拳), 팔타권(八打拳), 비종장권(秘宗長拳) 그외에도 많은 형이 있다. 이 형의 특징은 복잡한 보법을 써서 전진하다 돌연 회전 하는가 하면 조용하다 돌연 공격하여 적의 눈을 흐리게 하 므로 미종보 혹은 미종권이라 불리는것이다. 이 파의 시조로 전해지는 사람은 고서古書 수호지 에 나오는 양산박의 영웅 연청燕靑이라고 하며 연청권 이란 말은 이 사람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비종권)
23,홍가권(洪家拳)
중국 남파(南派)에서 발전한 무술 유파이다. 배 위에서 싸우기 위해 낮은 자세로 싸우는 남파 무술의 전통대로, 허리를 낮춘 자세에서 힘있는 움직임이 특징이다. 도중에 웃는 소리같은 기합이 들어가는데, 호흡법의 하나이다. 홍가권은 크게 홍가삼보(洪家三寶)로 불리는 '공자복호권(工字伏虎拳) , 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 , 철선권(鐵線拳)이 대표적인 권법이며 , 오형권(五形拳) , 십형권(十形拳) 등 동물들의 동작을 본뜬 권법 , 빠른 발차기 기술인 무영각(無影脚)과 취팔선권(醉八仙拳)이 있고 , 무기술로는 호접쌍도(蝴蝶雙刀) , 홍문봉(洪門棍) , 오랑팔괘곤 ,춘추대도 등이 있다. 대체로 홍가권은 공자복호권을 통해 기초를 다지고 , 호학쌍형권을 수련하여 실전을 대비하고 , 철선권으로 내공을 쌓는다. 그 외 오형권 십형권 같은 권법들은 홍가권의 고급과정에 속하는 권법들이다. 공자복호권과 호학쌍형권은 황비홍이 개량하여 그 위력이 더욱 강해졌으며 수제자 임세영 에 의해 공자복호권은 다시 한번 개량된다.
(홍가권)
24, 백학권(白鶴拳)
소림권에는 크게 북파 소림권과 남파 소림권으로 나뉜다 각각의 소림권에는 장단점과 특징이 있다. 북파는 자세가 좀더 넓으며 공중으로 도약하는 기법이 많으며 보법이 가벼우며 동물로 표현한다면 마치 독수리와 같은 형세를 띄고 있다. 그에 반해 남파는 자세가 북파보다 좁으며 "각수"보다는 "권"을 많이 사용하며 높이 도약하는 기법은 그리 많지 않으며 철사장 및 철포삼,박수공 과 같은 외문기공을 맣이 단련한다. 그런데 그중에서도 특이한 무술인 남파소림 백학권은 그 창시자가 "방칠랑"이라는 여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기법이 수수하면서도 남파소림권 에서는 보기드물 게 부드럽고 "태극권"과 같은 "내가권"에서 흔히 말하는 "졸력"을 사용하지 않도록 수련하고 있다. 방칠랑은 어려서 소림18나한권을 익히고 백학의 형세를 취해 백학권을 창시했는데, 백학권에는 원래 "비학권" "명학권" "숙학권" "식학권"의 네가지 공법이 전해졌다. 백학권은 여자가 창시한만큼 "고랑보"라는 특이한 보법이 있는데 이 보법은 여자가 사뿐이 걷는데서 따온 보법으로 백학권을 익히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보법으로 알려져 있다.
(백학권)
25,압권 (鴨拳)
오리권이라 불리기도 하는 압권의 유래는 당나라 시절 아미산에 살던 한 도가 무술가한테서 찾을 수 있다. "리우 야"라는 무술가는 실제로 오리를 길렀다. 오리들의 동작은 주인의 주의깊은 관찰력으로 하나의 무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결코 멋있다고 할 수없는 압권은 실제로도 효과적인 전투술로 인정받았다. 사실, 청나라 말기에 "라이오닝"북쪽지역에서 "장지선"이라는 당시 아주 뛰어난 무술가와 경호원중에 하나인 무술가도 있었다. 압권은 상당히 사실적으로 오리동작을 흉내낸다. 압권 무술가들은 걷는보법보다 기우뚱하는 보법을 밟는데 그 이유는 이 이상한 보법에 엄청난 발차기기술들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팔 역시 가능한한 파닥거리는데 그 수비적 효과는 학권과 비슷하다. 오늘날 압권은 "티안진"과 지림성, "당샨"주변에서 수련되고 있다.
(압권)
26,영춘권(詠春拳)
영춘권의 탄생에 대해서는 많은 속설이 있으나, 대체로 청나라 시대에 엄영춘이라는 여자가 창시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70년대를 풍미하다 젊은 나이에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홍콩 액션스타 이소룡이 엽문의 제자로써 영춘권을 수련하여 자신이 창조한 절권도의 기본을 영춘권의 기법으로 차용했다. 영춘권은 권법치고는 간략하면서도 위력적인 기술을 가졌으며. 근접한 상태로 다양한 상황에서 나오는 손 기술을 통해 상대의 공격을 무마시키고, 2차 공격 수단인 팔이나 손을 봉쇄하여 상대의 반격과 방어 가능성을 꺾는다. 그리고 나서 대응 수단이 없어진 상대 몸뚱아리에 곧바로 직권, 고권, 팔꿈치 등으로 강력한 공격을 퍼붓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순식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공방시 타격기만이 아닌 블로킹, 트래핑 등의 유술기가 적절히 연계되어 쓰인다. 공격은 언제든 방어가 될 수 있으며 방어는 언제든 공격이 될 수 있다. 물론 발 기술도 사용하지만, 기습적으로 상대의 노출된 하단(주로 오금)을 공격하거나 걸어 넘어뜨리는 것이 주이다. 일종의 수련대, 샌드백인 목인장 수련과 함께 서로의 팔을 붙이고 행하는 '치사오'라고 불리는 근접전 수련 방식을 자주 사용한다. 투로(套路, 일종의 품새)는 매우 간략하여 小念頭,標指,尋橋의 셋뿐이다. 자세는 따로 없고, 대부분 자연체로 행한다. 그 외에 봉술을 비롯하여 영춘권의 특징적인 八斬刀 무기술이 있다. 조그만 쌍검을 다루는 기술이다.
(영춘권)
27, 심의육합권(心意六合拳)
심의육합권은 回族전승되온 권법이다. 철저한 비밀주의 때문에 근년까지 실태는 물론,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못했으나, 높은 실전성 때문에 공개하자마자 순식간에 이름이 알려졌다. 현재 중국권법계에서 이름을 모르는 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팔극권과 견주는 최강의 권법이라고 하는 목소리가 많다. 심의육합권이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전신을 씀으로서 생겨나는 공격력에 있다. 손으로 치거나 발로 차는 공격은 그다지 쓰지 않고 박치기나 몸통 박치기 등의 공격을 적에게 가한다.그 공격은 상대의 측면이나 등뒤로 돌아가지 않고 반드시 정면에서 한다. 정면에서만 공방을 펼치는 것은 상대에게 몸 정면에 집중되어 있는 급소를 공격당할 위험성을 안고 있다. 급소인 머리도 마찬가지이다.그러나, 심의육합권은 그 금기를 무시함으로서 다른 권법이 만들어내지 못하는 엄청난 공격력을 발휘한다. 또한, 첫 공격을 시작하면 단 숨에 상대를 쓰러뜨릴 때까지 이어서 공격해 상대에게 반격의 기회를 주지 않도록 한다. 먼저 박치기를 먹이고, 이어서 뛰어들어가며 팔꿈치로 치고, 끝으로 어깨로 일격을 가하는 식의, 연속 공격으로 단숨에 승부를 낸다. [위험을 무릅서고 정면에서 상대를 향해 나아가 전신을 사용한 공격으로 승부를 낸다]는, 이 것이 심의육합권이다.
(심의육합권)
28,삼황포추(三皇炮捶)
삼황포추은 신화시대부터 전승되온 권법으로 인기가 높은 권법이다.아주 오래 된 권법이라고 이야기되고 있으나 확증은 청 대부터 밖에 없기 때문에 연구가들 사이에서 신뢰성은 낮다. 하지만 인기의 이유는 전통 때문만이 아니라 기법이 단순해서 간단히 습득할 수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삼황포추은, 다른 권법에 비해 복잡한 기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투로는 모두 직선으로 변화가 거의 없이 움직이도록 구성되어져 있고, 기술의 수도 적다.
그다지 노력도 필요치 않고, 단기간에 기법을 익힐 수 있는 것이 이점이라고 한다.또한, 삼황포추은 용맹 과감하게 싸우는 것을 신조로 하고 있다. 공격 궤도는 단순하지만, 찬스가 보이면 단 숨에 연타를 퍼부어 승부를 내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삼황포추의 연타에 의한 공격은, 궤도의 단순함과는 달리 상당히 피하기가 어려운 것이 많다. 왜냐하면,기본기를 익히기가 쉽기 때문에 권사들이 모두 연타 콤비네이션의 습득·연마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해, 확고한 공부를 몸에 익히기 때문이다.[기본기가 단순하기 때문에 확고한 공부가 실린 연타를 펼치는 공방을 이룬다]는 것이 삼황포추이다.
(삼황포추)
29,연청권(燕靑拳)
역사상으로 확실한 사실인 것은,손통(孫通)이 연청권을 시범보였던 청 대(1644- 1911)이다. 산동성 대현의 손통은 충주의 장(張)이라는 인물에게서 연청권을 배워 대성했다는 말을 들었다. 또한 손통은 중국 각지에서 시합을 하여 차례로 승리를 거둬 연청권을 이름을 널리 알렸다.
상대에게 접근할 때는, 신속하게, 움직임에 변화를 주면서 접근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전진하는 듯이 보이면서 눈앞에서 갑자기 후퇴하는 등의 진행 방법에 변화를 준다. 또는 갑자기 접근해서 눈앞에서 회전하며 기술을 구사해 적을 교란한다. 공통되는 것은 상대의 눈앞에서 변화를 주는 것이다. 공방의 기법 뿐 아니라, 이동에 있어서도 「허실」의 개념을 중시함으로서 상대를 보다 교란시킨다. 이 개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연청권은 많은 보법을 갖고 있다. 보법을 도중에 바꿈으로서 상대의 빈틈에 날아 들어가기까지의 타이밍을 읽을 수 없게 한다.
연청권은 수많은 중국 권법 속에서도 가장 변화가 풍부한 기법을 가진 북파 권법이다. 기술을 구사할 때에는 기민하게 움직이며, 구사한 다음에는 천천히 움직이면서 다음을 준비한다. 움직임의 강약을 조절함으로서 적을 교란시킨다. 또한 공격을 할 때, 위를 치는 척 하면서 아래를 치거나, 상대의 눈앞에서 회전을 하여 공격을 하는 등의 훼인트를 섞은 공격,중국 권법에서 말하는 「허실(虛實)」을 이용하는 것도 특징이다. 이러한 기법 상의 특징 때문에,연청권에는 권(拳),장(掌),주(肘),족(足)등 공방 시에 중점적으로 이용하는 부위는 없다. 주먹을 쓰는 척 하면서 발로 차는, 그런 식으로 한 번이 아닌, 서로 다른 부위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을 하나의 공격기로 삼는다. 훼인트를 이용하는 기법은, 이동할 때에도 나타난다. 급속히 쫓아간 뒤,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측면이나 뒤로 돌아가, 아래로 숙였다가 다시 뛰어오르는 식으로 변화를 주면서 상대에게 접근해 간다. 중국 권법에는 정(靜)과 동(動), 허(虛)와 실(實), 강(剛)과 유(柔)라고 하는 대 립되는 개념을 기법에 채용한 문파가 많다. 그러나,연청권처럼 공방과 보법의 기법 모두에 변화를 주는 문파는 없다. 끊임없는 변화에 의해 상대를 현혹하여 확실한 공격을 가한다.
(연청권)
30,사권(査拳)
신체를 크게 뻗으면서 신속하게 움직이는,장권 최대의 특징이랄 수 있는 기법의 원형이 되는 권법이다. 도약하면서 하는 발차기가 많은 것도 사권 기법을 채용한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권의 탄생에 대해서는 많은 설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사상의(査尙義:원래 이름은 사밀이(査密爾))가 창시자라는 설이다. 명 대 무관이었던 사상의는,당시 명에 있어서 정벌의 대상이었던 몽고족이나 복건성·광동성을 휩쓸던 도적 때들의 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그는 긴 여행 동안 중병에 걸려 산동성 관현의 산촌에서 농민들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사상의는 마을 사람들의 온정에 감격하여 자신이 오랜 세월 동안 연구한 권법을 전해 줬는데 그것이 사권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사권)
31,요권(瑤拳)
구안시 지역에 소수민족요씨일족은 요권이 그들이 받드는 신인 盤王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고 있다. 요권의 원류는 수,당나라 시절로 추정되며, 명나라 때, 윤 탕 리안이라는 뛰어난 여자 요권수련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당시엔, 맹요권으로 불려지기도 했다.(맹렬해서) 1847년, 雷在結라는 사람이 요권의 전문가들을 모아 기술향상을 기하기도 했다. 그 이유는 요씨일족은 산생활을 주로 했기에, 산을 오르내리면서 전형적으로 매우 강력한 다리힘과 아귀힘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요권 역시 이런 부분을 강조한다. 단순히 권법위주의 수련을 넘어 도와 斧,봉,창도 수련한다. 이 수련에서 사자춤과 호랑이춤 역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요권)
32,채리불(蔡李佛)
채리불(蔡李佛)권 은 중국 광동성(廣東省) 신회현(新會縣) 경매향(京梅鄕)出身인 진향(陳享:1805-1875)이 창시하였다고 함.
진향(진향)은 유년시에 삼촌인 진원호(陳遠護1784-1844)에게 불가권(佛家拳)을 사사하였다. 그후 성인이 되후 이우산(李友山1764-1844)사부에게 이가권(李家拳)을 배웠다. 이후소림사(少林寺)스님인 채복(蔡福)을 만나 채가권(蔡家拳)을사사하여 위 삼인의스승을 기년하기 위하여 이 삼권을 합쳐서 채리볼권 의 한문파(門派)로 창시하였다.
현재 채리볼권은 광동성 광주.불산.조경.소관.등지에서 유행되고 있으며 멀리는 홍콩,마카오,남양(남지나),미주, 등지에서 유행되고 있다 .
-채리불권 의 특징-
쾌속영활(快速靈活): 빠르고.신속.영활하다.
유중대강(柔中帶剛): 부드러움 속에 강이있다.
구유용맹(具有勇猛): 용맹스럽다.
기지적풍격(機智的風格): 지혜스럽운풍격이 있다.
33,채가권(蔡家拳)
채가권는 남파무술이종다. 전설에 따르면, 소림스님인채구의해 만들어진 남소림권이다. 중국남방지역 광범위한 보급 되이다. 빠르고 신속한 , 민첩하고 다양한변화에 권술이고, 기술적으로 채이불권이 공격 측면(側面) 초점을 맞추고이다.
문파의 역사
채가권은 중국의 전통 무술, 채가용형권 유입광동시기는, 反清複明인소림의 제자 爛頭何 은둔 생활에 무술관 건설하여 받은 제자 는劉紀다. 劉紀받은入室제자劉九如와何恩두사람이다, 何恩 그는 여행으로 인해 우연히소림 승려 羅桓(라환)만나고. 그는 실력 羅桓大師단순하고 정직한 성격, 마음,何恩이 반복 간청으로羅桓大師에개 삼년간 지속 개정 및 보충, 이후 채가권. 새로운 단계 진입해다 .
(채가권)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태국 사시프라파 짐 미트훈련 (0) | 2012.08.29 |
---|---|
[스크랩] 영화 `아저씨` 원빈이 갈고 닦은 무술.. 그리고 무기들.. (0) | 2012.08.24 |
[스크랩] 싸움의 기술 - 7가지 공격기술 - (0) | 2012.05.15 |
[스크랩] [가슴] 인클라인 덤벨 프레스 (윗경사에 누워서 아령밀어올리기) (0) | 2012.03.15 |
[스크랩] 부천에서 매주 주말 주짓수 정모합니다..무료입니다(초보분 환영) (0) | 2012.02.21 |